-
Notifications
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- Fork 0
/
20_JAEHASAFE.cpp
122 lines (112 loc) · 3.4 KB
/
20_JAEHASAFE.cpp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67
68
69
70
71
72
73
74
75
76
77
78
79
80
81
82
83
84
85
86
87
88
89
90
91
92
93
94
95
96
97
98
99
100
101
102
103
104
105
106
107
108
109
110
111
112
113
114
115
116
117
118
119
120
121
122
#include <cstdio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string>
using namespace std;
char safe[100][10001];
// 코드 20.4 KMP 알고리즘을 이용해 부분 일치 테이블을 생성하기
// N 에서 자기 자신을 찾으면서 나타나는 부분 일치를 이용해
// pi[]를 계산한다
// pi[i] = N[..i]의 접미사도 되고 접두사도 되는 문자열의 최대 길이
vector<int> getPartialMatch(const string& N) {
int m = N.size();
vector<int> pi(m, 0);
// KMP로 자기 자신을 찾는다
// N을 N에서 찾는다. begin = 0이면 자기 자신을 찾아버리니까 안 됨!
int begin = 1, matched = 0;
// 비교할 문자가 N의 끝에 도달할 때까지 찾으면서 부분 일치를 모두 기록한다
while (begin + matched < m) {
if (N[begin + matched] == N[matched]) {
++matched;
pi[begin + matched - 1] = matched;
}
else {
if (matched == 0)
++begin;
else {
begin += matched - pi[matched - 1];
matched = pi[matched - 1];
}
}
}
return pi;
}
// 코드 20.7 KMP 알고리즘의 다른 구현
vector<int> kmpSearch2(const string& H, const string& N) {
int n = H.size(), m = N.size();
vector<int> ret;
vector<int> pi = getPartialMatch(N);
// 현재 대응된 글자의 수
int matched = 0;
// 짚더미의 각 글자를 순회한다
for (int i = 0; i < n; ++i) {
// matched번 글자와 짚더미의 해당 글자가 불일치할 경우
// 현재 대등된글자의 수를 pi[matched-1]로 줄인다
while (matched > 0 && H[i] != N[matched])
matched = pi[matched - 1];
// 글자가 대응될 경우
if (H[i] == N[matched]) {
++matched;
if (matched == m) {
ret.push_back(i - m + 1);
matched = pi[matched - 1];
}
}
}
return ret;
}
// 코드 20.2 커누스-모리스-프랫(KMP) 문자열 검색 알고리즘의 구현
// '짚더미' H의 부분 문자열로 '바늘'N 이 출현하는 시작 위치들을 모두 반환한다
vector<int> kmpSearch(const string& H, const string& N) {
int n = H.size(), m = N.size();
vector<int> ret;
// pi[i] = N[..i]의 접미사도 되고 접두사도 되는 문자열의 최대 길이
vector<int> pi = getPartialMatch(N);
// begin = matched = 0 에서부터 시작하자
int begin = 0, matched = 0;
while (begin <= n - m) {
// 만약 짚더미의 해당 글자가 바늘의 해당 글자와 같다면
if (matched < m && H[begin + matched] == N[matched]) {
++matched;
// 결과적으로 m글자가 모두 일치했다면 답에 추가한다
if (matched == m)
ret.push_back(begin);
}
else {
// 예외: matched가 0인 경우에는 다음 칸에서부터 계속
if (matched == 0)
++begin;
else {
begin += matched - pi[matched - 1];
// begin 을 옮겼다고 처음부터 다시 비교할 필요는 없다
// 옮긴 후에도 pi[matched - 1]만큼은 항상 일치하기 때문이다
matched = pi[matched - 1];
}
}
}
return ret;
}
int shifts(const string& original, const string& target) {
return kmpSearch(original + original, target)[0];
}
int main(void) {
int C, N, ans;
bool clockwise;
scanf("%d", &C);
while (C--) {
ans = 0;
clockwise = true;
scanf("%d\n", &N);
for (int i = 0; i <= N; i++) {
gets_s(safe[i]);
}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if (!clockwise)
ans += shifts(string(safe[i]), string(safe[i + 1]));
else
ans += shifts(string(safe[i + 1]), string(safe[i]));
clockwise = !clockwise;
}
printf("%d\n", ans);
}
return 0;
}