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
Latest commit

 

History

History
217 lines (137 loc) · 13.3 KB

README.md

File metadata and controls

217 lines (137 loc) · 13.3 KB

trinap

AppStore: https://apps.apple.com/kr/app/trinap/id6444876356?l=en

290km 팀 소개 👨‍👨‍👦‍👦

S007 김세영 S015 김찬수 S016 박도윤 S033 유병주
@yy0867 @chansooo @d0yvn @byeongjooyoo

📷 프로젝트 소개

우리가 여행을 추억하는 방법 📷, Trinap

👋 Trinap을 개발한 팀 290km입니다!

📝 여행에서의 추억을 남기고 싶으신가요?

Trinap에서 내 주위 사진 작가를 탐색하고 촬영을 요청해보세요!

🫵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고, 고객이 될 수 있습니다.

작가 프로필을 등록하고, 프로필 노출 버튼만 클릭하면 작가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.

👬 편하게 다른 유저와 만나보세요!

유저와의 채팅, 위치 공유를 통해서 편하게 만날 수 있습니다.

✨ 주요 기능

🔎 원하는 장소를 검색하고, 가까운 순서대로 작가를 모아볼 수 있어요!

KakaoTalk_Photo_2022-12-14-17-26-41

🧾 작가의 정보를 확인하고 예약을 신청할 수 있어요.

KakaoTalk_Photo_2022-12-14-17-26-49

💬 채팅과 위치 공유를 통해서 손쉽게 만날 수 있어요.

KakaoTalk_Photo_2022-12-14-17-26-54

👀 예약 내역을 한 눈에 모아 볼 수 있어요.

Reservation_mockup

📱작동 화면

장소 검색 및 작가 확인 작가 정보 확인 및 예약 신청 채팅및 위치 공유 예약 내역
trinap1-resize trainp2-resize trinap3 trinap4-resize

🔨 기술 소개

➡️ Tuist

tuist

프로젝트 관리 도구로 Tuist를 사용했습니다.

도입 이유

*.pbxproj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Tuist를 도입했습니다.

도입 결과

  • Swift로 프로젝트 관리를 할 수 있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.
  • 독립된 기능들을 쉽게 모듈화하여, 재사용성을 높이고 빌드 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었습니다.
  •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, 캐시되어 있는 프레임워크를 가져오기 때문에 생성 및 로딩 시간을 단축시켰습니다.
  • 프로젝트 리소스를 자동으로 생성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➡️ 이미지 캐시 및 Downsampling 모듈 구현

도입 이유

  • 많은 View에서 네트워크 요청을 통한 이미지 처리가 필요합니다.
  • 원본 이미지를 그대로 불러오게 되면서 메모리 관리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.
  • CollectionView 또는 TableView에서 스크롤을 할 때마다 이미지를 불러오는 작업을 하기 때문에 반복된 네트워크 요청이 발생하는 문제를 겪었습니다.

도입 결과

  • 캐싱을 도입해서 네트워크 통신 비용과 메모리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습니다.
  • Downsampling 과정에서 이미지 버퍼에 들어 있는 불필요한 픽셀을 삭제하여, Decode 및 Rendering 과정에서 CPU와 메모리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습니다.

Downsampling_MemoryGraph

➡️ DIContainer + 환경변수 설정

도입 이유

  •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Coordinator에서 의존성 주입을 위해 반복적으로 생성되는 Repository를 재사용하기 위해 DIContainer를 도입했습니다.
  • 또한 테스트를 할 때 정확한 포멧의 데이터만 받지 않고 여러가지 에러가 발생하는 상황을 만들기 위해 가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FakeRepository를 구현하고 환경 변수로 실제 repository와 가짜 repository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.

도입 결과

  • DIContainer 도입으로 의존성 주입과 관련한 중복 코드를 제거하고 여러 곳에서 사용되는 Repository를 하나의 인스턴스로 재사용 할 수 있었습니다.
  • use_fake_repository, is_succeed_case라는 환경 변수 설정하여 에러 처리를 위해 알맞은 환경 변수를 설정하면서 각 화면 및 기능에 대한 에러에 대한 대응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  • Tuist의 Project.swift 파일에서 환경 변수를 설정해주어, 자동으로 알맞은 변수가 등록될 수 있도록 처리하였습니다.

➡️ fastlane

프로젝트 빌드 및 배포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CD 툴로 fastlane을 도입했습니다.

도입 이유

  • 외부 테스터들이 쉽게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TestFlight를 사용하면서 아카이브 파일을 TestFlight에 올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fastlane을 도입했습니다.

도입 결과

  •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TestFlight에 배포를 하는 과정을 자동화하는 lane을 구현하였습니다.
  • Tuist의 auto-signing기능을 끄고 배포용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을 적용해서 올리기 위해서 XCConfig 파일에 들어있는 PROVISIONING_PROFILE_SPECIFIER를 수정하고 프로젝트 타겟에만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을 설정해주었습니다.
  • 버전과 빌드를 올리고, 빌드를 한 후 archive를 하고 TestFlight 배포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fastlane beta 하나의 명령어로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.

➡️ MVVM

Viewmodel

도입 이유

  • 사용자 입력 및 뷰의 로직과 비즈니스에 관련된 로직을 분리하고 싶었습니다.
  • View의 Event로 부터 UI작업까지 단방향으로 관리할 수 있었습니다.
  • ViewController에 의존적이지 않는 Testable한 ViewModel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.

도입 결과

  1. Input, Output으로 나누어 ViewModel에 전달받을 값과, 전달할 값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었습니다.
  2. ViewController가 ViewModel의 프로퍼티를 참조하는 의존성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.

➡️ Coordinator Pattern

coord

도입 이유

  • 코드 베이스로 UI를 작성하게되면 StoryBoard로 UI를 작성할 때 보다 View들의 계층과 Flow를 파악하기가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.
  • ViewController의 화면 전환 및 의존성을 주입하는 역할을 분리하기 위해 적용했습니다.

도입 결과

  • 동일한 인스턴스의 중복 생성을 막아 메모리 낭비를 막을 수 있었습니다.
  • View의 계층과 Flow 및 의존성을 주입에 대한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.
  • 의존성 주입이 복잡해질 경우 DI Container를 추가적으로 구현하여 의존성에 관한 내용을 분리하였습니다.

➡️ Clean Architecture

도입 이유

CleanArchitecture

  • MVVM 구조에서 ViewModel이 모든 로직을 처리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Clean Architecture를 적용하였습니다.
  • 각각의 레이어를 역할에 따라 분리하여 방대한 양의 코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싶었습니다.
  • 프로토콜로 각 레이어의 객체에 대한 추상화를 진행하여 수정에 닫혀 있는 코드를 작성하고 싶었습니다.

도입 결과

  • 각각의 비즈니스 로직을 따로 테스트할 수 있었습니다.
  • 각 객체의 역할을 프로토콜로 정의하고, Mock 객체를 구현하여 단위 테스트하기에 용이하도록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.
  • 프로토콜로 해당 클래스의 역할과 형태를 명시해서, 협업을 할 때 각 객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.

➡️ RxSwift

도입 이유

  • 네트워크 기반의 서비스여서 대부분의 동작이 비동기적이기 때문에 Thread 관리에 주의해야합니다.
  • 실제 서버가 아닌 NoSQL기반의 파이어베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중첩된 네트워크 연산을 처리해야하므로 하나의 연산에 콜백이 중첩되어 가독성 저해 및 휴먼 에러로 인한 디버그 문제가 발생합니다.

도입 결과

  • escaping closure가 아닌 RxSwift의 Operator를 활용하여 코드 양이 감소하여 깔끔해지고 실수를 방지할 수 있었습니다.
  • Traits를 활용하여 Thread 관리를 더 쉽게 할 수 있었습니다.
  • 비동기 코드(DispatchQueue, OperationQueue)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아 일관성 있는 비동기 코드로 작성할 수 있었습니다.

➡️ Firebase

도입 이유

  • 사용자 인증, 사용자 정보 저장, 실시간 채팅, 실시간 위치 공유 등의 기능 구현을 위해 별도의 서버 구현없이 빠르게 개발 가능한 FireBase를 사용하였습니다.
  • Firebase Console을 통해 쉽게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.

도입 결과

  • Firebase Authentication을 사용하여 Apple 소셜 로그인을 구현하였습니다.
  • Firebase Firestore를 활용하여 사용하여 사용자 데이터, 채팅 정보, 위치 정보를 저장하였습니다.
  • FireStore의 채팅 데이터, 위치 데이터를 옵저빙하여 변경되는 데이터를 앱에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해주었습니다.
  • Firebase Cloud Functions를 이용하여 채팅에 대한 알림 기능과 특정 위치에서 가까운 순서로 작가의 정보를 가져오는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.

🙆‍♂️ 협업 방식

🙌 적극적인 의사소통

  • 혼자 해결하기 힘든 문제가 발생하거나, 그 문제 때문에 개발이 지연될 경우 적극적으로 팀원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였습니다.

slack1

💕 페어 프로그래밍

  • 초반에 서로의 코딩 스타일을 경험하고 이해의 깊이를 맞추기 위해서 페어프로그래밍을 진행했습니다.

slack2

slack3

💬 모든 PR에 대한 코드 리뷰

slack4

slack5

  • 모든 브랜치에 2명 이상이 Approve를 해야 PR이 Merge될 수 있도록 설정하였습니다.
  • 컨벤션 뿐만 아니라 로직 및 아키텍처 관점에서의 의견 공유도 활발히 진행하였습니다.
  • 코드 리뷰를 꼼꼼히 진행하면서 팀원 모두가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코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.

빠른 피드백

  • 깃허브 레포지토리와 슬랙을 연동해서 실시간으로 작업 상황을 공유하고 피드백을 할 수 있었습니다.

slack6

📚 코딩 컨벤션 정의

  • SwiftLint를 사용하여 코드의 형식을 일관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.
  • 아래의 스타일 가이드를 저희 팀의 스타일에 맞게 커스텀하여 사용하였습니다.

GitHub - kodecocodes/swift-style-guide: The official Swift style guide for raywenderlich.com.